티스토리 뷰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봉 2800 실수령액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의 1인당 GDP가 얼마인지 혹시 아시나요? 대략적으로 27,000 달러 정도 됩니다. 즉 국민 1인당 평균적으로 1년에 약 2,800만원 정도를 벌어드린다는 것인데요. 그렇다면 대하민국 국민의 평균적인 연봉을 2800만원 정도로 잡아도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아마 대기업에 다니시는 분들은 이보다 조금 더 연봉을 받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초봉 2800 정도로 생각해볼 때 연봉 2천대 후반에서 3천대 초반까지 받을 수 있는 기업은 중소기업에 속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그렇다면 연봉 2800만원을 받는 사람들은 월급을 실수령액으로 얼마 받게 될까요? 단순히 연봉을 12로 나눈 금액을 받을거라 생각하신다면 너무 단순하게 생각하신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나라에 벌어들인 돈에 대해서 세금을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죠. 또한 건강보험이나 국민연금도 매달 일정금액 이상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월급의 몇 %는 자동적으로 공제됩니다.

 





그 금액은 연봉이 높아질수록 많아지는 누진제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연봉 2800은 정확히 얼마가 빠져나갈지 궁금하시겠죠? 이럴 때는 사람인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연봉 계산기를 이용하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람인 연봉계산기에는 자신의 연봉과 부양가족 수, 20세 이하 자녀수를 기입함으로써, 자신이 지급하고 있는 소득세나 국민연금, 4대보험 공제금액을 정확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를 월급에서 제하면 정확한 실수령액이 나오죠.

 


연봉 2800에 대해서 실수령액을 계산해보면, 공제액 합계가 217천원, 실수령액은 211만원이 나옵니다. 따라서 이 금액에 대해 12를 곱해주면 연간 2500만원 정도를 실수령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계산기를 이용해서 연봉 2000, 연봉 3000, 연봉 2400 실수령액 등도 쉽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기 이용하시기 바랍니다지금까지 연봉 2800 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