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러분 안녕하세요. 한주가 또 시작되었습니다. 


이번주도 힘내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증여세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증여세가 무엇인지 혹시 아시나요? 나라에 내는 세금의 일종인데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산을 타인에게 물려줄 때 내는 세금입니다.


타인이라 하면 자신의 배우자나 자녀도 예외 없이 모두를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가족 간 증여인 경우에는 아무래도 공제되는 금액이 커집니다.





증여세율은 증여하는 재산의 금액에 따라서 달라지는데요. 10퍼센트 부터 최대 50퍼센트까지 다양합니다.


이러한 증여공제와 증여세율 때문에 계산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증여를 할 때 세무사의 상담을 받습니다.





증여재산공제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면 우선 배우자의 증여를 받은 경우는 6억원이 공제됩니다. 


직계존속의 경우는 5천만원, 직계비속인 경우는 3천만원, 위의 해당사항이 없는 친족으로부터 증여받는 경우는 500만원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증여재산의 금액에서 증여재산공제액을 뺀 금액을 증여세 과세표준으로 하고 그에 맞는 세율을 곱함으로써 증여세가 계산되는 것이 기본적입니다.


증여세 계산법에 대해서 잘 알아보셨나요? 너무 어렵다고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세무사가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담을 받으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인터넷 상에서 자동적으로 계산해주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있으니 그것은 바로 국세청 홈텍스 입니다.


포털 사이트에서 국세청 홈텍스를 검색어로 검색하시고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오른쪽 위의 모의계산을 클릭하면 두번째 메뉴에 증여세 자동계산이 있습니다. 



간편하게 계산하는 방법과 자세히 계산하는 방법이 있는데 일단은 대략적인 계산을 통해서 자신에게 얼마의 증여세가 할당되실지를 미리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증여세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도 세금에 대해서 공부하시고 절세생활을 생활화 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댓글